멀티스플릿(Multi-Split) 시스템은 하나의 실외기에 두 대 이상의 실내기를 연결해 사용하는 효율적인 냉방 시스템입니다.
스탠드형과 벽걸이형을 조합하거나, 벽걸이 두 대를 연결하는 식으로 공간 활용과 에너지 효율을 동시에 잡을 수 있어 가정, 오피스, 상가 등에서 많이 쓰입니다.

 

그런데 설치 변경이나 장비 교체를 위해 펌프다운을 시도하면 많은 기술자들이 이렇게 말합니다.

 

“하나만 켜도 되는 건가요?”
“냉매는 다 회수되나요?”
“압력은 어디서 확인하죠?”

 

이 글에서는 멀티스플릿 구조, 전자팽창밸브(EEV)의 원리, 그리고 두 대의 벽걸이 실내기 기준 펌프다운 절차까지 헷갈리지 않게 정리해드립니다.

⚙️ EEV는 어디에 있을까? — 실내기가 아닌 실외기!

멀티스플릿 구조의 핵심은 여러 실내기를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이 기능을 가능하게 해주는 것이 바로 EEV (Electronic Expansion Valve)입니다.

 

✅ 멀티스플릿에서는 EEV가 실외기에 있음

  • 실외기 내부에서 실내기로 나가는 각 냉매 라인마다 개별 EEV가 장착되어 있습니다.
  • 실내기가 운전 중일 때만 해당 라인의 EEV가 전기 신호로 열리며,
    꺼져 있으면 냉매가 흐르지 않습니다.

📌 실내기에서 냉매가 흐르도록 하려면, 운전 상태로 켜서 EEV가 열린 상태여야 합니다.

 

🔁 왜 펌프다운이 헷갈릴까?

펌프다운은 냉매를 실외기로 회수하는 작업입니다.
하지만 멀티스플릿은 실내기를 독립 제어하므로 다음 같은 혼란이 생깁니다.

  • 실내기 하나만 켜도 되는지?
  • 꺼진 실내기의 냉매도 회수되는지?
  • 회수 후 다른 실내기 냉매 상태는 어떻게 확인하는지?

이건 모두 EEV가 실외기 안에서 제어된다는 사실을 알면 쉽게 해결됩니다.

 

🛠️ 두 대의 벽걸이 실내기가 있는 경우: 펌프다운 절차

A실내기, B실내기 두 대의 벽걸이형이 연결되어 있고, A만 가동한다고 가정합니다.

 

✅ A 실내기만 펌프다운하는 방법

  1. A 실내기만 냉방 운전 상태로 켭니다.
    → 실외기 내부의 A 라인용 EEV가 열립니다.
  2. 5~10분 가량 가동 유지, 냉매 흐름이 안정될 때까지 기다립니다.
  3. 실외기의 A 라인 고압 서비스 밸브를 잠급니다.
  4. 매니폴드 게이지로 저압 압력이 점차 떨어지는지 확인합니다.
  5. 압력이 0psi에 가까워지면, 저압 밸브도 잠급니다.
  6. 마지막으로 실외기 전원을 OFF하여 펌프다운을 마칩니다.

⚠️ 이때 B 실내기는 EEV가 닫혀 있으므로, B 라인의 냉매는 회수되지 않습니다.

 

📉 펌프다운 후 B 실내기의 압력을 확인하려면?

펌프다운 이후 B 실내기의 냉매 상태를 확인하려면, 다시 B 실내기를 켜서 운전 상태로 만들어야 합니다.

절차:

  1. B 실내기를 냉방 운전 상태로 켭니다.
    → 실외기 내부의 EEV가 열립니다.
  2. B 라인의 서비스 포트에 게이지를 연결합니다.
  3. 냉매 순환이 시작되면 정상 압력값이 표시됩니다.

❌ B 실내기를 켜지 않은 상태에서는 EEV가 닫혀 있어 압력이 거의 표시되지 않거나 비정상 수치가 나옵니다.

 

🌡️ 펌프다운 전에 필수! 냉매 상태 점검 팁

펌프다운이 완료되면 냉매 흐름이 멈추기 때문에 그 후에는 냉매 상태를 확인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펌프다운 전에 시스템이 정상 상태인지 점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다음을 확인해보세요:

  • 토출 온도:
    실내 온도가 75°F (24°C)일 때, 송풍구 바람이 약 57°F (14°C) 전후로 나와야 정상입니다.
    이보다 높으면 냉매 부족 가능성이 있습니다.
  • 냉매 압력:
    매니폴드 게이지를 연결해 운전 중의 고압/저압 압력 수치가 정상인지 확인하세요.

📌 이 점검을 통해 펌프다운 후 재설치 시 냉매를 다시 충전할 필요가 있는지 판단할 수 있습니다.

 

✅ 핵심 요약

항목 요약
EEV 위치 실외기 내부, 실내기 라인별로 설치됨
펌프다운 요건 운전 중인 실내기만 냉매 회수 가능 (EEV 열림)
냉매 점검 시점 반드시 펌프다운 전에만 가능
다른 실내기 진단법 진단하려는 실내기를 ON → 서비스 포트에 게이지 연결

 

 

멀티스플릿은 구조만 이해하면 펌프다운도 어렵지 않습니다.
기본 원리만 익혀두면 하나의 실내기만으로도 효율적으로 작업할 수 있고, 전체 냉매 상태까지 정확하게 관리할 수 있습니다.

 

다음 번 작업 때는 이 구조와 흐름을 꼭 떠올려보세요!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