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서비스콜은 한 고객님의 집에서 시작되었습니다.

고객님은 “써모스탯 화면이 깜빡거리며 꺼졌다 켜졌다를 반복한다”고 말씀하셨습니다.

 

그리고 최근의 찜통더위 속에서, “에어컨이 잠깐 시원해졌다가 다시 더워진다”는 증상도 함께 보고하셨죠.

 

🏠 장비는 다락에 설치된 퍼니스(가스히터 일체형 에어핸들러)였고, 점검을 시작했습니다.

🔍 플로트 스위치 작동 확인

퍼니스 옆 드레인 트랩 쪽을 열어보니,
세이프티 플로트 스위치 안에 물이 차 있었고, 이것이 유닛 작동을 끊었다 다시 연결시키는 원인이었습니다.

 

💧 이 시스템은

  • 메인 드레인 → 외부로 배수
  • 세컨더리 드레인 → 백업 라인 (약간 더 높이 위치)

⚠️ 메인 드레인 라인이 막히면, 물이 세컨더리 라인으로 넘어가게 되어 있고,
세컨더리 라인까지 물이 차면 플로트 스위치가 작동해 유닛을 꺼버립니다.

 

✂️ 막힌 드레인 라인 청소 작업

문제 해결을 위해 막힌 드레인 파이프를 절단하고,

드레인 클리너 건(Swoosh Gun)을 이용해 내부 압력을 줘서 이물질을 날려보냈습니다.

클리너 건은 즉각적인 청소에 효과적이며, 대부분의 주거용 시스템에서 쉽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드레인 파이프를 절단한 뒤, 내부를 청소하고 다시 연결하는 작업을 진행했습니다.

 

🧰 사용한 자재는 다음과 같습니다:

  • 드레인 클리너 건 (Swoosh Gun)
  • PVC 파이프 커터
  • 90도 엘보우 2개
  • 커플러 1개
  • PVC 프라이머
  • PVC 접착제 (PVC Glue)

🚿 먼저, 클리너 건을 드레인 라인에 연결한 후 고압의 공기를 주입
고여 있던 물과 이물질을 한 번에 날려보냈습니다.
이 방식은 즉각적인 효과가 뛰어나고, 대부분의 주거용 시스템에서 간편하게 적용할 수 있습니다.

 

청소가 완료된 후에는 파이프를 다시 복구했는데,
단순히 커플러를 꽂는 것만으로는 부족하므로 다음과 같은 추가 작업이 필요합니다:

 

✔️ PVC 프라이머를 먼저 도포해 파이프 표면을 부드럽게 만들어주고,
✔️ 그 위에 PVC 접착제(PVC Glue)를 사용해 커플러와 파이프를 완전히 밀봉합니다.

 

🎨 보통 프라이머는 보라색, 접착제는 파란색 또는 투명색이며,
접착 후에는 최소 15분 이상 건조시키는 것이 중요합니다.
완전 건조 전에 압력 테스트나 시스템 작동을 시도하면 누수나 접합 불량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하지만 상황에 따라, 다른 방식의 청소법도 있습니다.

 

💧 다른 드레인 클리닝 방법들

1️⃣ Milwaukee M12 스틱 워터 트랜스퍼 펌프 사용

또 다른 드레인 청소 방법으로는
Milwaukee M12 12V 스틱 워터 트랜스퍼 펌프를 활용하는 방식이 있습니다.

 

이 장비는 작동 전,
인렛 입구를 물이 담긴 버킷 안에 담가둔 상태에서 시작해야 하며,
버킷 속의 물을 펌프가 흡입해 호스를 통해 고압으로 내보내는 방식입니다.

 

이때 발생하는 수압을 이용해
드레인 라인 내부에 있는 이물질이나 고여 있는 물을 밀어내는 데 효과적입니다.

 

🔧 특히 배관 내부에 일정량의 물이 이미 차 있는 경우,
고여 있는 찌꺼기를 자연스럽게 함께 밀어내면서
막힘을 해소할 수 있어 아주 유용한 장비입니다.

 

⚠️ 단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 장비 사용 전 버킷에 충분한 물이 있어야 하며,
  • 배관이 완전히 마른 상태라면 작동이 원활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 준비 공간과 장비 셋업에 시간이 다소 걸릴 수 있습니다.

 

2️⃣ 백업 관리용 – 화이트 비니거 청소법

막히기 전 예방용으로는 식초(화이트 비니거)를 활용한 클리닝 방법도 많이 사용됩니다.
보통은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사용합니다:

  • 식초:물 = 1:1 비율로 희석한 용액을 드레인 라인에 붓기
  • 약 30분 정도 두었다가 따뜻한 물로 헹굼
  • 중성세제나 소량의 베이킹소다를 함께 사용하기도 함

📌 주의할 점:

  • 이 방법은 이미 막힌 경우에는 효과가 거의 없습니다.
  • 막히기 전 예방용이나, 아주 약한 축적물 관리용으로만 사용하세요.

 

🔧 외부 배관 쪽도 확인

집 뒤쪽으로 돌아가 배관이 외부로 나오는 부분을 점검하니,
상단이 제대로 연결되어 있지 않았습니다.

 

이를 재연결하고, 실제로 물이 배출되는지도 확인했습니다.
💦 약간의 물방울이 흐르며 배수가 잘 이루어지고 있었고,
시스템은 정상 작동하며 시원하게 냉방 중이었습니다.

 

✅ 이번 점검 요약

  • ❗ 써모스탯 꺼짐 증상 → 플로트 스위치 작동 때문
  • ❗ 원인: 드레인 라인 막힘
  • ✔ 드레인 라인 절단 및 내부 클리닝
  • ✔ 외부 배출 라인 재연결
  • ✔ 커플러로 파이프 복구
  • 💨 결과: 냉방 정상 작동 확인 완료!

 

💡 작은 드레인 막힘 하나가 전체 시스템을 끄는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고온다습한 날씨엔 특히 배수 관리가 중요하니, 꼭 정기적인 점검을 추천드려요!

 

✅ 드레인 막힘 + 플로트 스위치 작동 서비스콜 요약 차트

단계 작업 내용 비고 / 사용 도구
1️⃣ 고객 증상 확인 써모스탯 꺼졌다 켜짐, 냉방 불안정
2️⃣ 플로트 스위치 확인 세이프티 플로트 안에 물 고임 상태
3️⃣ 원인 파악 메인 드레인 막힘 → 세컨더리로 전환 → 플로트 작동
4️⃣ 드레인 파이프 절단 클리닝 준비용
5️⃣ 드레인 클리너 건 사용 고압 공기 주입으로 막힘 제거 (Swoosh Gun)
6️⃣ 사용 자재 클리너 건, 파이프 커터, 엘보우 2개, 커플러, PVC 프라이머 & 접착제
7️⃣ PVC 복구 작업 커플러 + 프라이머 + 접착제로 완전 밀봉 (건조 최소 15분)
8️⃣ 추가 클리닝 방법 🅰 Milwaukee M12 워터 펌프 → 물 고인 라인에 효과적
🅱 화이트 비니거(1:1) 예방 청소용
9️⃣ 외부 배관 확인 연결부 재조정 및 배수 확인 – 물 흐름 정상
🔟 최종 확인 시스템 냉방 정상 작동 확인 완료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