냉동 시스템의 작동 원리를 이해하려면, 가장 먼저 짚고 넘어가야 할 핵심이 있습니다.
바로 압력 차이입니다.
열이 흡수되고, 다시 방출되는 이 모든 과정은 고압(high side)과 저압(low side)의 흐름과 밀접한 관계가 있어요.

 

오늘은 이 두 가지 압력 영역이 어떤 역할을 하는지, 시스템 안에서 어떻게 작동하고 나뉘는지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 고압부(High Side)와 저압부(Low Side)란?

냉장고든, 가정용 에어컨이든, 대형 냉동 시스템이든,
모든 냉동 사이클은 내부 구성품들이 고압부와 저압부로 나뉘어 있습니다.
이 구분이 정확하게 되어야 시스템이 제대로 작동하고 효율도 유지됩니다.

 

❄️ 저압부 (Low Side) – 냉방의 시작점

저압부는 일반적으로 팽창 밸브(또는 모세관) 바로 뒤, 증발기(evaporator)의 시작점부터 시작합니다.
여기서부터 냉매는 내부 공간의 열을 흡수하는 역할을 하게 돼요.

  • 저압 상태의 액체 냉매가 증발기 안으로 들어오고
  • 압력이 낮아지면서 기화(증발)하게 됩니다
  • 이 과정에서 주변의 열을 흡수하며 공간을 차갑게 만들죠

즉, 저압부는 냉매가 열을 먹는 스펀지 역할을 하는 구간이라고 보면 됩니다.

 

🌀 컴프레서 – 고압과 저압을 나누는 핵심

이제 등장하는 건 컴프레서(압축기)입니다.
컴프레서는 저압부에서 기체 상태로 증발한 냉매를 흡입(suction)해
강한 압력으로 압축하고, 고압부로 밀어 넣는 역할을 하죠.

 

결국 컴프레서는 냉동 사이클 내에서
고압과 저압을 나누는 경계선 같은 존재입니다.

 

🔥 고압부 (High Side) – 열을 밖으로 빼내는 곳

컴프레서를 통과한 냉매는 고압의 고온 기체 상태입니다.
이 냉매는 콘덴서(응축기)를 지나면서 주변 공기와 열을 교환하게 돼요.

  • 콘덴서에서 냉매는 주변보다 온도가 높기 때문에
  • 자연스럽게 열을 외부로 방출하게 되고
  • 냉매는 다시 액체 상태로 바뀌게 됩니다

이 과정을 통해 실내의 열은 밖으로 빠져나가게 되는 거예요.

 

⚙️ 팽창 밸브 – 다시 저압부로 돌아가는 출입문

이제 팽창 밸브(metering device)를 지나면 냉매는 다시 저압 상태로 떨어지고,
다시 증발기로 들어가 열을 흡수하는 사이클이 반복됩니다.

 

팽창 밸브는 말 그대로
고압부와 저압부를 나누는 관문입니다.
이 장치가 있어야 시스템의 압력 차가 유지되고, 냉매의 흐름이 제어되는 거죠.

 

💡 HVACR 시스템에서의 압력 이해

냉동과 냉방 시스템에서는 압력값을 정확히 이해하고 구분하는 것이 정말 중요합니다.
저압부와 고압부는 각각 고정된 용적을 가진 구간이며,
파스칼의 법칙에 따라 액체나 기체에 가해진 압력은 모든 방향으로 균등하게 전달됩니다.

 

그래서 시스템 내부에서는
각 구간별로 비교적 균일한 압력이 유지되게 되는 것이죠.

또한 상황에 따라 다음과 같은 용어로도 표현되니 알아두면 좋아요:

표준 용어 다른 표현들
저압부 (Low Side) 흡입압(Suction Pressure), 증발압(Evaporator Pressure)
고압부 (High Side) 토출압(Discharge Pressure), 응축압(Condenser Pressure), 헤드압(Head Pressure)

 

✍️ 마무리하며

냉동 시스템에서 고압부와 저압부의 이해는 단순한 구조 설명 그 이상입니다.
이 두 영역을 이해하고 정확히 측정할 수 있어야만:

  • 냉매가 잘 흐르고 있는지
  • 컴프레서가 제대로 작동하고 있는지
  • 열이 잘 방출되고 있는지

모두 진단할 수 있습니다.

 

냉매는 압력의 흐름을 따라 움직입니다.
이 압력의 높낮이가 곧 냉방의 핵심이라는 걸 잊지 마세요.

 

✅ 고압부 vs 저압부 – 비교 요약 차트 

항목 저압부 (Low Side) 고압부 (High Side)
시작 위치 팽창밸브 → 증발기 컴프레서 토출 후
끝나는 위치 컴프레서 흡입부 팽창밸브 전
압력 상태 저압 고압
온도 상태 차가움 (열 흡수) 뜨거움 (열 방출)
냉매 상태 저압 액체 및 기체 혼합 고압 기체 또는 액체
주요 구성품 증발기 응축기
역할 실내 열 흡수 실외로 열 방출
다른 명칭 흡입측, 증발기측, Suction 토출측, 응축측, Head Pressure

+ Recent posts